목록전체 글 (416)
나르치스와 골드문트
오전 근무, 오후 공부로 루틴한 일상에 조카님 유치원 하원이라는 중차대한 임무가 추가됐다. 일주일에 한 번뿐이지만 오후 4시 45분은 정말 애매한 시간이라 앞 뒤로 뭔가 끼워 넣는다는 게 쉽지 않다.그래서 하원 전 자투리 시간에 그냥 뛰기로 했다^^ 제한 시간은 40분 이내. 마치고 씻는 데까지 1시간동안 최적의 효율을 내야 한다. 반백수 주제에 타이트하게 5km~7km만 뛰자니 좀 아쉽고, 그렇다고 장거리를 뛸 수도 없고, 그래서 인터벌을 함 해봤다. 마침 동네 축구장 둘레에 울퉁불퉁 다 일어났지만 트랙이라는 것이 있고, 날씨가 추워지고 있어 낮에 뛰어도 덥지도 않고, 딱 하나 걸리는 게 예전에 인터벌 하다가 부상을 입은 적이 있다는 점이다. 그래도 지금은 근육이 꽤 다져졌고, 적당한 속도로 뛰면 괜찮..
벌써 20년지기 친구가 된 머털이 닮은 머털이. 공부하느라 통 소식을 몰랐는데, 오랜만에 만났더니 지금 거주지가 한국이 아니라고... 거기서 뭘 하는데? 머털이가 들려준 얘기는 놀라웠다. 우리가 마지막에 봤던 게 언제더라... 이 친구는 전공에 맞춰서 시험을 봤고, 또 그렇게 전문직이 되어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던 차였다. 개업을 했는데 사무실도 잘 되고 업무와 관련된 책을 냈는데 책도 대박이 나고, 너무 바빠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삶을 살았다.여러 사정이 있었지만 이 친구는 그러다 홀연히 한국을 등졌고, 거기서 개발자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. 뭐? 개에바알자? 네 얼굴에 SW는 고사하고 IT라는 게 없는데?라는 말이 튀어나올뻔 했다. 머털이는 정착하기 위해서 고시공부 하듯이 개발 공부를 했고,..

부산행 열차를 탔을 때였나,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장장 3시간여 시간 때우기를 위해 이 책을 골라봤다. 김연수 작가 책은 일단 안 갖고 있는 거면 사서 쟁여두는 편이라 꽤 오랫동안 책장에 꽂혀 있었다. 서울역에서 자리에 앉아 숨을 돌리자마자 책장을 펼쳤는데 어느새 시간은 순삭, 책이 너무 재밌어서 낄낄대고 읽다보니 부산역에 도착할 때 즈음에는 거의 다 읽었다. 김연수 작가를 워낙 좋아해서 소설책은 대부분 읽었는데 이 책은 좀 다른 유형의 에세이다. 2009년 '씨네21'에 1년에 걸쳐 김연수, 김중혁 두 작가가 연달아 글을 기고했다. 영화를 한 편씩 골라 보고 영화 감상을 포함해 서로에게 편치를 부친다.김중혁 작가 작품은 못 읽어봤지만 김연수 작가를 믿고 본 책이다. 두 사람은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친..